Announcement

 
  • March 23, 2022 12:27 PM | Anonymous member (Administrator)

    안녕하세요 KASBP 회원 여러분,


    오는 봄에 있을 2022 KASBP Spring eSymposium에 대한 일정이 확정되어 이렇게 공유드립니다.
    아쉽게도 이번 봄 심포지엄까지는 Virtually 진행될 예정입니다.


    미국 시간 June 9th ~ June 10th 7:00 -11:50 PM EST

    한국 시간 June 10th ~ June 11th 8:00 AM - 12:50 PM KST


    감사합니다.

  • May 24, 2021 6:23 PM | Anonymous member

    KASBP의 미래를 이끌어 가실 12명의 과학자분들이 이번 20주년 기념 심포지엄 Fellowship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수상을 진심을 축하드리며 심포지엄날 멋진 발표 기대하겠습니다 !

    Fellowship Name Current Status Affiliation
    유한 최세규 Research Associate Harvard University
    유한 조성윤 Postdoctoral Researcher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유한 이동헌 Postdoctoral Researcher  Duke University
    한미 곽태경 Postdoctoral Researcher  The Wistar Institute
    한미 김우리 Postdoctoral Researcher  Harvard Medical School
    한미 박태윤 Postdoctoral Researcher  McLean Hospital
    동아ST 이민재 Postdoctoral Researcher  Yale University
    SK Biopharm 윤성희 Postdoctoral Researcher  Harvard Medical School
    AbTis 양윤주 Postdoctoral Researcher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삼양홀딩스 안경만 Faculty Scientist Johns Hopkins University 
    Enzychem Lifesciences 김진우 PhD candidate Stony Brook University
    Eutilex 최윤화 PhD candidate University of Wisconsin  
  • April 26, 2021 3:51 PM | Anonymous member (Administrator)

    NanoEntek은 SKT의 자회사로 Life science (LS, 생명과학)와 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 (IVD, 체외진단) 관련 연구, 개발 및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www.nanoentek.com)

    NanoEntek에서는 2020년에 이어서 20201년에도 KASBP 회원분들과 소통하며 상호 간에 유익한 협력 관계를 맺고자 하며 나아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Life Science 신제품인 아래 기기에 대한 인터뷰 및 무상 대여를 하고자 합니다.

    회사 소개와 무상 기기 대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봐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1) An automated fluorescence cell counter (ADAM-MC2 for R&D, ADAM-CellT for cGMP)

    (2) Fluorescence cell analyzer for life science and cell biology (ADAMⅡ-LS)

    (3) CD marker reader from cell harvest to manufacturing QC in cell therapies, R&D (ADAMⅡ-CDx)

    [NanoEntek] Product list.pdf



    이벤트: NanoEntek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SelectScience에 당사 장비 사용 후기를 남겨주시면
    3명의 best reviewers를 선정하여 Apple Airpods pro를 선물로 드립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장비 사용 후기 URL: https://bit.ly/2Obl1Lq

    연락 및 문의처: 나노엔텍 사업개발팀: bd@nanoentek.com


    [NanoEntek] 무상 기기 대여 및 이벤트 안내 모집글.docx

  • March 25, 2021 10:40 PM | Anonymous member (Administrator)

    We are thrilled to announce for 2021 KASBP Spring eSymposium in celebration of KASBP's 20th anniversary!

    This year, in response to ongoing COVID crisis, Spring eSymposium will be delivered 'virtually'.
    Please find the date/time below as well as in the attached poster and SAVE THE DATE!

    1. Date/Time: June 3rd (Thu.) ~ June 5th (Sat.) EST
             June 4th (Fri.) ~ June 6th (Sun.) KST
    2. Symposium Theme: Data Science-Driven Drug Discovery



    Also, KASBP Fellowship and Job Fair are planned for 2021 KASBP Spring eSymposium as well.
    Announcement with details and timeline will be sent out to you shortly.

    Best wishes in staying safe and healthy.


  • October 10, 2020 5:56 PM | Anonymous member

    다음 세대를 이끌고 가실 12명의 과학자분들이 오랜 심사끝에 아래와 같이 fellowship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가을 심포지움에서의 발표를 기대하며 수상을 진심을 축하드립니다 !


  • October 07, 2020 10:49 PM | Anonymous member

    2020년도 KASBP-대웅상 수상자로 래리곽(Larry Kwak)박사님께서 선정이 되셨습니다. 곽 박사님께서는 혈액종양학의 권위자이시며 면역치료, CAR-T 등으로 많은 성과를 올리셨습니다. 현재 캘리포니아의 City of Hope 암병원의 Vice President이시고 Deputy Director로 계십니다. 이번 KASBP 가을 심포지엄 (29일)에 'Overcoming tumor escape from immunotherapy'라는 제목으로 keynote presentation이 있을 예정입니다. 래리곽 박사님의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 September 23, 2020 10:44 PM | Anonymous member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임상시험 진행 환경에 따라 향후 관련 분야에서 데이터(data)와 디지털(digital)이 주요한 키워드로 떠오를 전망이다.

    22일(현지 시간) 주보스턴 총영사관의 주관으로 개최된 ‘COVID 시대 제약바이오 산업 변화와 대응 전략’ 웨비나에서는 KASBP(재미한인제약인협회) 박수희 회장의 발표가 진행됐다.

    박 회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제약업계, 그 중에도 임상시험 분야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고 말했다.

    그는 “제약산업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많은 타격을 받은 분야는 임상시험 분야다. 임상시험을 진행할 때 환자들을 직접 만나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데 그럴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또 보통 하나의 신약 개발에 10~15년의 기간이 요구되는데, 코로나19의 백신의 경우 1~2년 사이에 모든 임상을 마쳐야 하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걸 어떻게 가능하게 해야 할 지 고민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여러 빅파마들의 동향을 보면 이런 상황의 키워드는 크게 두 가지 단어로 압축이 된다. 하나는 데이터(data), 다른 하나는 디지털(digital)이다. 이제는 사람들을 대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데이터를 신약 개발에 이용하는 방법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비대면으로 임상을 진행하는 방법 등이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가상(virtual) 임상시험은 환자들이 앱을 이용해 비대면으로 각자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그것을 디지털로 전송해 데이터화한 다음,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박 회장은 “앞으로 임상시험의 방향성은 디지털 기술이 우세가 되는, 앱(app) 기반의 자가 모니터링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개발 등이 활성화될 것이다. 또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AI나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법이 빠른 속도로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또 기초 임상시험 분야에도 이런 점들이 굉장히 많이 접목돼 있다. 기존에 모아져있는 데이터를 다방면으로 측정해 활용하는 것이다. AI는 수 년 전부터 유망했지만 아직까지 절정은 오지 않았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코로나19 상황에 맞추어 앞으로 빠른 속도로 개발되면서 수요가 많이 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신약 개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으로 ‘정보’를 꼽았다.

    그는 “현재 신약 후보 물질 탐색의 트렌드는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상에는 굉장히 많은 기술, 플랫폼이 있는데 이 많은 것 중에 어떤 것에 집중해야 해야 성공적인 신약 개발에 다가설 수 있느냐는 의문이 들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에는 ‘정보 싸움’이라고 본다. 정보를 잘 획득하려면 소통(communication)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제약업계 종사자들이 KASBP에서 개최하는 모임을 포함한 여러 행사에 참석해 많은 교류를 나눴으면 한다”고 전했다.


  • September 10, 2020 9:26 PM | Anonymous member

    The 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KASBP) is cordially inviting you to apply for fellowship awards in the 2020 KASBP Fall eSymposium to be held virtually in Oct. 29th (Thu.) ~ Oct. 31st (Sat.) from 7 PM to 11 PM EST.

    As an honored tradition, we award fellowships to young scholars,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toral fellows with a proven record of stellar contributions to the biomedical research. The KASBP symposium has been an excellent venue for emerging scientists and scholars to connect with a large professional Korean-American scientist network. During the symposium you will also be exposed to various cutting-edge sciences in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from pharmaceutical and biotech industry. Invited Area: Medical sciences, Biological & Pharmaceutical sciences, Organic/Medicinal chemistry, and/or areas related to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Submission

    Requirement*:

    1. All applicants must be registered to the KASBP Fall eSymposium before applying.

    2. All awardees are required to give a 5-min oral talk and poster presentation.

    3. All applicants are encouraged to present posters, regardless of award.

    Please e-mail your Abstract and CV to committee chair.

    o Due date: September 21, 2020 (Awardees will be notified by September 30, 2020)

    o Format: Abstract and CV (in WORD)

    o Typeface: Times New Roman, font size 11 or 12 points

    o Send to: Hakryul Jo (KASBP Fellowship Committee Chair) E-mail: Hakryul.Jo@gmail.com Telephone: 617-697-0291

    *Please contact committee chair for any questions regarding the fellowship application. 

    https://kasbp.org/EmailTracker/LinkTracker.ashx?linkAndRecipientCode=gK4siBwvh1KPedFjlDXIqQypwfl79OkK7%2FK82FvEekHTTI8lqmTrFOB4y2U7tBha%2BywhHiK1hmMM8DcKJlky9DpPNf8Snfx6qamH6YQ6gok%3D


  • September 10, 2020 9:23 PM | Anonymous member

    This year, due to COVID crisis, KASBP Fall eSymposium will be delivered Virtually. Please find the details below.

    1. Date/Time: Oct. 29th (Thu.) ~ Oct. 31st (Sat.), 7 PM ~ 11 PM EST 
    2. Details for Registration 
      1. Link: https://kasbp.org/event-3963171
      2. Fee: Undergraduate - Free
         Graduate - $ 10
         Regular - $ 20
    3. Job Fair announcement will follow soon


  • September 08, 2020 10:21 AM | Anonymous member

    지난 8월 28일 일리노이지부에서 진행된 세번째 KASBP Webinar에서는 한국 및 일본, 영국, 그리고 미국 각지역의 제약관련분들의 모임이 되었습니다. 세미나에 앞서 전공분야별 Networking시간을 가졌습니다. 약 20분간 진행된 모임은 이용익박사님(Astellas)이 Biology / DMPK / bioinformatics 세션을, 김성기 IT director가 MD / Pharmacy / BD / formulation / other세션의 moderator를 담당하셨습니다.

    이러한 networking은 앞으로도 계속 진행을 하여 같은 분야에 종사하시는 전문가들의 경험과 소식을 전해듣는 자리로 KASBP온라인 미팅때도 진행을 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본 세미나에 앞서 허나교박사님(Astellas)의 안내로 시작된 Webinar는 정승원지부장님(AbbVie)께서 간단한 지부소개에 이어, 대학원생 및 포닥을 위한 mini-seminar에 대한 광고를 하였습니다.(관심있는 분들은kasbp.il.chapter@gmail.com 으로 신청 바랍니다) Mini-seminar는 대학원생과 포닥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자신이 공부하는 분야를 다른 분야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더 나아가 좋은 네트워킹을 통해 원하는 분야의 일을 지속적으로 하는데 그 의미를 둘수 있습니다.

    지부관련 활동계획에 이어 10월말에 있을 KASBP Fall Symposium (Webinar로 진행, 10월29~31일)에 대한 소개를 마치고, 과거 뉴저지에서 KASBP초창기 멤버로 참여하시다가 인디애나로 자리를 옮기신 최낙현박사님(Corteva)께서 연사소개를 해주셨습니다.

    연사는 현재 인디애나에 위치한 제약회사 Eli Lilly에서 Lung Cancer Medical Lead로 근무하시는 김종석박사님으로 “Landscape of recent anti-cancer drug development”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해주셨습니다. 김종석 박사님은 한국에서 MD training을 받으시고, 한국 Sanofi-Aventis에서 Medical Advisor, Eli Lilly의Medical affair 및 Global Oncology Development Team에서 근무를 하시면서 글로벌 제약회사에서 필요한 여러 경력들을 쌓으셨으며 MD로서 제약회사에서 할수 있는 일들의 장점과 여러 포지션들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세미나 본론으로 김종석박사님께서는 전통적인 세포독성함암제부터 항체 항암제, 유전자변이 표적치료제, 면역요법 치료제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방향과 사례들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모든 약들의 데이터가 좋아보여도 임상3상에서 반드시 성공을 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실패를 통해서 더 나은 mechanism의 이해와 다음을 위한 발판이 될수 있음을 시사하셨습니다. 임상시험 디자인시 중요하게 작용되는 Study Assumption과 Target population identification과 그 안에서 작용되는 Risk Factor를 이미 discovery단계에서 알고 접근하는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여러 암종류 중에서 특히 폐암관련 치료 가이드라인과 임상시험 디자인 적용에 대하여 논의해 주셨고 최근의 여러 면역치료제의 성공과 유전자 검사 스크리닝을 통한 여러 표적치료제의 개발적용 사례에 대해서도 알려주셨습니다. 여러 표적치료중에서 특히 폐암에서의 여러 유전자 변이중에서 인종별 차이가 있는데 그 예로 아시아계에서 EGFR변이는 아시아계에서 상대적으로 많고 KRAS변이는 상대적으로 적게 있다고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현재 first line therapy로 잘 알려진 Osimertinib이후 mutation에 대비한 Second-line therapy에 많은 회사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데 처음부터 TI에 맞는 Efficacious Dosing을 정하는것이 다음단계의 임상시험에서 시간을 절약할수 있는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임상시험의 효과적인 방안인 Tissue/Tumor Agnostic Approval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주셨는데이는 한가지의 약으로 특정gene의 mutation이 있는 여러 cancer type환자군을 임상1상에서 treatment하는 것입니다. 나중에 적은 수의 환자를 모집하여 허가를 받을수도 있는데 그 예로 Pembrolizumab를 들어 주셨습니다.이 약의 허가과정을 더불어 설명하면서 FDA의 가이드라인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주셨습니다.(competitor의 지정과 primary end point read out). 그리고 요즘 많이 진행되는 combo therapy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주셨으며 성공적인 예로Eli Lilly의 Alimta와 Merck의 Pembrolizumab combo therapy를 들어 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drug development에 있어서 중요한 regulatory guideline and requirement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셨고, MIDD(Model informed Drug Development에 대해서도 강조를 해주셨습니다.

    세미나 이후에 김경효박사님(AbbVie)의 사회로 이루어진 상품권 퀴즈에서는 참가자인 황지영님(Immunology전공)이 1등 상품권($100)을 차지하였고, 이어진 홍보시간에는 PTC therapeutic에 계시는 문영춘 박사님께서 현재 PTC에 오프닝이 있는 여러 scientific position을 소개해 주셨습니다. 세미나보다 앞서 진행된 네트워킹과 달리, 세미나 이후 이루어진 Networking 시간에는 HLB Life Science에 계시는 한용해박사님, ISU ABXIS의 배동구박사님, SK Bioscience의 정광호박사님, 일본 OncoTherapy Science의 박재현박사님, 그리고 영국 AstraZeneca에서 DMPK로 일하시는 이미영박사님등 20명 남짓한 분들이 남아서 서로 격려해주시고 서로를 좀더 알아가고 오늘 있었던 세미나에 대해 조금더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KASBP Webinar series에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저희 KASBP 에서 보내드리는 이메일에 첨부된 링크로 RSVP를 남겨주시면 됩니다. 초대 이메일을 받지 못하신 분들은 directors@kasbp.org 로 성명, 소속,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초대장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9월 웨비너는 KASBP 워싱턴 DC지부에서 진행할 예정이오니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Powered by Wild Apricot Membership Software